건강

만성요통

까치산하나 2010. 7. 16. 10:43

만성 요통의 감별진단과 치료
 
정성수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1. 만성 요통이란?

 2. 증상

 

 3. 감별진단 

 

    4. 치료

 

 * 참고문헌

   
 
1. 만성 요통이란?
 

 

 

 

 만성 요통이란 일반적으로 통증의 기간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요통

 

을 지칭하는 것으로 검사 결과에 비해 통증의 정도가 심하고 예후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원인이 비교적 명확하고 치료의

 

효과가 분명한 급성 요통에 비하여 만성 요통은 정확한 원인을 알기

 

어렵고 치료의 효과도 불분명한 경우가 많아 의사나 환자를 괴롭히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이다.

 
 
2. 증상
 

 허리 주변의 비교적 넒은 부위에 통증이 있으며, 날카롭고 심한 통증

 

다는 둔하고 정확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척추 관절의 이상으로 인한 통증은 허리를 움직일 때 심해지는 특징을

 

보이지만 근육의 이상으로 인한 통증은 움직이면서 통증이 호전되는 경

 

우도 있다. 퇴행성 질환으로 신경근 압박을 동반한 경우에는 하지 방사

 

통이 나타나기도 하고, 걸음을 걷다가 하지의 심한 통증으로 쉬어가야

 

하는 신경성 파행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요통은 주로 둔부 근

 

처에서 방사통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3. 감별진단
 
 

 만성 요통의 감별진단을 위해서는 단순 방사선 촬영(X-ray)이 기본적

 

으로 필요하며, 이때 전후면 및 측면 사진과 함께 굴곡-신전 측면 사진

 

을 촬영하여 전체적인 척추 관절의 모양과 척추의 불안정성 여부에 대

 

해 판정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MRI 또는 CT 촬영은 방사통 등 신경 증

 

상이 있을 때 필요한 검사이며, 요통만 있는 경우에는 진단효과가 떨

 

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폐경기 이후의 여성이나 고령의 환자의 경우

 

골밀도 검사를 하여 골다공증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4. 치료

 

 

 만성 요통의 치료에 운동이 좋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정기적인

 

운동은 허리 주위의 근력을 강화시켜 약해진 척추 분절을 보완해주어 통

 

증을 경감시키며, 운동 자체가 환자들이 느끼는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통증을 덜 느끼게 된다. 도움이 되는 운동은 빠른 걸

 

음으로 걷기, 수영, 등산 등이며, 통증의 정도에 맞추어 운동의 강도를 조

 

절해야 한다.


 요통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약물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만성 요통에

 

대한 약물의 효과는 치료보다는 일종의 증상 조절이라고 할 수 있지만

 

통증이 조절되지 않은 상태로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심해지고 만성화되

 

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약물로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마치 고혈압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물이

 

고혈압을 치료하지는 못하더라도 혈압을 낮춤으로써 혈압이 높은 상태

 

로 장기간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

 

지 원리이다. 약물은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진통 소염제를 투여하지만 장

 

기간 진통 소염제를 투여하는 경우 위장관 출혈, 신기능 장애 등의 부작

 

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단순 진통제

 

를 투여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통증의 정도가 10점

 

만점에 4-5점 이상일 경우 일반적인 진통제의 효과 범위를 넘어선 것으

 

로 판단해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이 권장되기도 한다.

 

 

* 참고문헌
 
 
  1. John D Loeser. Pain: Disease or Dis-ease? World Institute of Pain, Pain Practice, Volume 5, Issue 2, 77-84, 2005.
  2. Allan I. Basbaum. Spinal mechanisms of acute and persistent pain. Region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24(1):59-67, 1999.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피린  (0) 2010.08.14
치매예방  (0) 2010.08.13
흉통?  (0) 2010.06.21
손 발 저림증  (0) 2010.05.08
원형탈모증  (0) 2010.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