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사 대법원이 존엄사를 허용한 기준은 △환자가 회생 가능성이 없고 사망 과정에 진입했다고 판단될 경우 △치료 중단을 원하는 환자의 의사(意思) △중단을 구하는 연명치료 행위 △의사(醫師)에 의한 치료 중단의 실행 등 크게 4가지다. 대법원은 우선 자기결정권 및 신뢰관계를 기초로 하는 의료계약의.. 호스피스 2009.05.21
통증관리2 통증치료에 대한 잘못 알려진 사실들 ▶ 통증이 있을 때만 약을 복용한다? 통증이 심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약을 복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통증은 심할 때보다 약할 때 조절하기가 쉬우며, 처방 된 진통제를 규칙적으로 제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통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진통.. 호스피스 2009.03.09
통증관리1 통증은 암환자들이 겪는 가장 흔하면서도 고통스러운 증상 중 하나입니다. 초기 암 환자나 혹은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암 환자의 약 30~50%가, 진행성 암 환자의 약 60~70%가, 그리고 말기암 환자의 약 80~90%가 심한 통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것은 암 환자의 70~90%가 통증 관리 원칙에 따라 .. 호스피스 2009.03.09
치매(알츠하이머병) 1. 가장 흔한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 : 발병률과 유병률은 60세 이후에 매 5년마다 두배씩 증가, 60-64세 유병률은 1%, 65-60세 2%, 70-74세 4%, 75-79세 8%, 80-84세 16%, 대략 65세 이상 노인의 10%가 알쯔하이머병을 앓고 있다. 2. 알쯔하이머 병에 걸릴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 나이가 많을 수록 - 학력이 낮을.. 호스피스 2008.09.05
피부암 조기 발견 매월 정기적으로 피부를 검진하는 것은 피부에 나타나는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피부 검진을 하는 동안 피부 종양의 크기나, 모양, 색깔, 또는 융기의 변화가 있는지 관찰하고, 그 종양에서 피가 나거나, 가렵거나, 통증이 있는지 살펴보십시오.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흑색종.. 호스피스 2008.08.09
DNR(퍼온글) 서울의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 폐암 환자 윤모(74)씨가 가쁜 숨을 몰아쉬며 누워 있다. 그는 지난 2년간 수차례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받았지만 병세가 호전되지 않아 암 세포가 온몸에 퍼진 말기 환자다. 가족만 겨우 알아볼 정도의 의식 상태인 그가 위독한 상태가 되면 그는 심폐소생술, 강심제 .. 호스피스 2008.07.23
암성통증관리 1. 암성 통증이란? 암성 통증은 암과 관련된 불쾌한 느낌이며 신체에 나타날 수 있는 좋지 않은 증상 중 하나입니다. 암은 세포의 성장과 분할이 불규칙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종종 많은 조직이 생성되기도 합니다. 암세포는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과하며 인체의 다른 기관으로 퍼져나.. 호스피스 2008.07.17
호스피스의 의미와 역사 1) 호스피스의 의미와 역사 호스피스란 말기라고 진단 내려진 환자를 신체적, 정서적, 영적으로 돌보아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여명기간 동안 가치 있는 사람으로, 의미 있는 삶이 되어 질적으로 높은 삶을 영위하고 개인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불어로 hospice란 말의 어원은 .. 호스피스 2008.07.16
골라드세요! Beets(사탕무): 엽산 + 항산화효과 Cabbage(양배추): sulforaphane(항암효소) Swiss chard(근대): carotenoids (노안방지) Cinnamon(계피): 혈당감소, 콜레스테롤 감소 Pomegranate juice(석류주스):혈압감소+ 비타민 C + 항산화효과 Dried plums(서양자두, 건포도): 항암효과 Pumpkin seeds(호박씨): 마그네슘+무기질 Sardines(정어리): omega-3.. 호스피스 2008.07.03
임성통증 관리지침(환자용) 암성통증 관리안내의 주요 내용(환자용) ○ 통증이 있으면 참지 말고 말씀 하세요 - 통증을 치료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통증에 대해 의사나 간호사에게 말하는 것입니다. 환자들은 의료진을 귀 찮게 할까봐 통증에 대하여 말하는 것을 주저합니다. - 의료진들은 여러분이 왜 아픈지 그 원인을 .. 호스피스 2008.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