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eumatoid Factor(RF)
⊙ 검사목적
만성관절 류마티즘의 진단, 예후판정, 치료효과의 판정(RF는 사람의 IgG의 Fc부분에 대한 항체이고 토끼 IgG의 Fc부분과 결합한다. 자기면역질환인 RA 환자 혈청중에 자기항체 RF가 높은 비율로 보여진다).
⊙ 고치질환
1. 만성관절 류마티즘(RA)
2. 전신성 홍반성낭창(SLE)
3. 강피증(PSS)
4. 간경변
5. 만성 간염
⊙ 관련항목
ESR, CRP
⊙ 특기사항
① RF는 America rheumatism 협회의 RA 진단기준의 한 항목으로 인정되어 있고 RA 진단을 위해서 없어서는 안될 검사이다.
② RA 이외에는 교원병, 만성 간질환에서도 양성을 보이고 정상인에게서도 양성을 나타내기도 하며 연령의 증가와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RF가 양성이라도 RA의 확진은 할 수 없다.
⊙ 개요
RF에는 IgG, IgM, IgA, IgE 등 각종 면역 글로블린 class에 속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현재의 검사법은 응집 활성이 강한 IgM class의 RF가 주로 측정되고 있다.
RA titer는 진단보다는 예후판정, 치료효과 판정에 있다.
또한 보다 장기적인 RA 활동성을 나타낸다.
IgG형 RA factor는 악성 관절 류마티스에서 고치를 나타내며 RA 병태해명에 있어서 한층 더 발달된 검사법이다.
⊙ 검체정보
중성지방 고치 혈청, cryoglobulin 혈청, pyroglobulin 혈청에서는 외견상 고치를 보이기 때문에 식후의 채혈은 피한다.
출처: 삼광의료재단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어지럼증과 뇌자기공명영상(MRI)의 진단적 유용성 (0) | 2015.11.11 |
---|---|
현재까지 메르스 상황 20가지 정리 (0) | 2015.06.05 |
최근 줄기세포 치료에 대한 소고. (0) | 2015.03.13 |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0) | 2015.01.27 |
아스피린 드실때 알아야 하는 6가지 상식 (0) | 201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