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MSD는 21일 서울시 플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자사의 경구제 '프로페시아(피나스테리드)'가 외용제인 '미녹시딜'과 함께 한국, 중국 등 국가가 참여한 아시아 컨센스서 위원회가 제정한 탈모 가이드라인에서 최고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서양인 대상 연구를 기반으로 한 기존 가이드라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됐다.
연구를 주도한 이원수 연세의대 피부과 교수는 "그간 국제학계에서 통용돼 온 가이드라인은 남성에서 나타나는 여성형 탈모 등 비전형적 탈모 유형을 분류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 컨센서스 위원회는 탈모의 분류를 위해 'BASP 분류법'을 사용했다. 'BASP 분류법'은 이원수 교수 및 대한모발학회 소속 국내 12개 대학 연구진이 공동연구로 개발한 새 탈모 분류법이다.
앞머리 선의 모양과 남아있는 두정부 모발의 밀도를 기반으로 탈모의 진행 상태와 중증도에 따른 유형을 분류했으며 인종 및 성별에 관계없이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활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가이드라인은 남성형 탈모 유형을 진행정도에 따라 '경증~중증도, 중등도~중증, 중증'의 3단계로 나눴으며 단계별 치료법 및 치료제 권장 정도를 A~C로 분류했다.
이 교수는 "치료법의 등급 차는 사실 A와 B가 극명하다는 얘기는 아니다. 다만 A등급에 비해 B등급은 상대적으로 효능을 입증하는 데이터 축적이 적다는 정도"라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 이번 가이드라인이 국내 뿐 아니라 아시아 국가들의 탈모 진단 및 처방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특히 남녀를 통합했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전략적 접근이 가능해 졌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가이드라인은 2013년 유럽피부과학회지에 게재됐으며 오는 5월 제주도에서 열리는 세계모발연구학회에서도 소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