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럼증 |
1. 빈혈과 어지럼증
- 어지러우면 사람들은 흔히 빈혈 때문이라고 추측하지만 실제 빈혈에서는 어지럼증이 비교적 드물다.
어지럼증은 신경계에 속하는 전정계의 기능 장애로 나타나는 증상인데 주위가 빙글빙글 돌고 비틀거리면서 구역질이나 구토를 동반한다.
2 .전정계란 무엇이며 그 역할은?
- 전정계란 내이(內耳)에 있는 세 개의 반고리관과 전정신경, 그리고 뇌간(뇌의 일부분)에 있는 전정신경핵을 말한다.세반고리관과 전정신경을 말초전정계라 하고 전정신경핵을 중추전정계라 한다.
3. 회전성 어지럼증과 비회전성 어지럼증
- 전정계 이상으로 오는 어지럼증을 회전성 어지럼증이라 하고 그 이외의 원인에 의한 것을 비회전성 어지럼증이라 한다.
회전성 어지럼증은 주위가 빙글빙글 돌고 비틀 거리며 구토를 흔히 동반하며 머리를 움직일 때 증상이 악화된다.귀울림,난청이 동반되기도 한다.
비회전성 어지럼증은 비전정계 어지럼증이라고 도 하며 눈앞이 캄캄해지면서 아찔아찔하고 붕 떠 있는 느낌이 들며 심하면 실신까지 한다.손발이 저리거나 집중력이 떨어지고 긴장성두통을 흔히 동반한다.전정계의 이상 때문이 아니라 스트레스, 과호흡,부정맥 등이 원인이다.
어지럼증에서는 무엇보다도 전정계 기능장애 여부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4. 말초성과 중추성어지럼증의구별
- 일단 회전성 어지럼증으로 생각되면 말초전정계 이상인지 중추전정계 이상인지를 구별하여야 한다.
말초전정계인 세반고리관과 전정신경의 이상에 의해 생기는 경우를 말초성 어지럼증이라 하고 전정신경핵에 이상이 있을 때를 중추성 어지럼증 이라 한다.
이렇게 구별하는 이유는 원인질환이 다르고 특히 중추성 어지럼증의 원인에는 응급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어지럼증의 원인
A.말초성 어지럼증 |
B.중추성 어지럼증 |
- 양성돌발성체위성 어지러움 | - 뇌간과 소뇌 병변 |
- 전정신경염 | - 일과성허혈발작 |
- 메니에르 질환 | - 뇌졸증 |
. |
- 뇌종양 |
5. 말초성 어지럼증
◎ 양성돌발성체위성
- 어지러움 갑자기 머리나 몸의 위치를 바꿀 때 생기는 어지럼증이다.어지럼증은 보통 30초 이내에 끝나지만 그 후로도 어지러운 느낌을 몇 시간 내지 하루종일 느낄 수 있다.또한 아침에 더 심하고 오후에는 가벼워지는 것이 보통이다. |
◎ 전정신경염
- 과로를 하거나 감기를 앓고 난 다음 갑자기 심한 어지럼증과 함께 주위가 빙빙 돌고 구토를 심하게 한다. |
◎ 메니에르 질환
- 어지럼증과 구토가 있으면서 특징적으로 이명 (귀울림)과 청력감소 등을 동반한다.귀 안이 꽉 찬 느낌을 받으며 자주 재발한다. |
◎ 편두통
- 편두통은 원래 욱신거리는 두통이 특징이지만 뇌혈관의 변화가 발병기전이기 때문에 때로는 어지럼증으로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6. 중추성 어지럼증
◎ 뇌간허혈
- 나이가 많고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이 갑자기 어지럽고 비틀거리게 되면 뇌간의 혈액순환 장애를 제일 먼저 의심하여야 한다. |
◎ 소뇌질환
- 소뇌는 기능적으로 전정신경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따라서 소뇌질환에서도 흔히 어지럼증이 나타난다. |
◎ 뇌종양
- 전정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뇌간부위 종양 에서도 어지럼증이 나타난다. |
7. 전정장애 재활치료
① 반고리관결석 정복술
- 양성돌발성체위성 어지러움
② 전정재활운동
- 전정신경염
8. 반고리관결석 정복술
- 이 특수치료는 약 5분 정도의 시술로 반고리관의 돌조각(결석)을 난형낭으로 원위치시키며,치료 성공률이 높다.
9. 전정재활운동
다음 운동을 하루에 1 5분간 3회 반복하세요
① 눈 운동 : 아래위,옆으로 |
----------대한 신경과 학회--------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샘)기능저하증 (0) | 2008.10.24 |
---|---|
쯔쯔가무시병 (0) | 2008.10.22 |
원형탈모증 (0) | 2008.10.02 |
독감예방접종(펀글) (0) | 2008.09.22 |
알레르기성비염 (0) | 2008.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