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만성통증(1)

까치산하나 2011. 12. 15. 11:32

만성통증에 시달리는 우리나라 사람이 약 250만 명에 달한다. 성인 10명 중 1명꼴이다. 보통 나이 들수록 만성통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다. 노화로 신체 기능이 퇴화되는데다 각종 병에 걸리기 쉬워 통증이 나타나는데, 이를 제대로 치료하지 않아 만성통증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반면, 젊은층에겐 치료가 어려운 난치성 통증이 상대적으로 많다. 그런데도 젊다는 이유로 통증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아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만성통증에 대해 알아본다.

Part 1 난치성 통증, 젊은층 비율 1.4배 높아
대한통증학회는 최근 4개 대학병원의 통증클리닉을 찾은 통증 환자 1만2654명을 분석했다. 그 결과, 40대 이전의 젊은 환자 중 치료가 쉬운 통각수용통증을 앓는 비율은 41.5%며, 치료가 어려운 신경병증통증과 복합통증(통각수용통증+신경병증통증)을 앓는 비율은 57.3%다. 40대 이후는 그 반대다. 통각수용통증이 59.6%고, 신경병증통증과 복합통증이 있는 환자가 38%로, 비교적 치료가 쉬운 통증질환의 비율이 높았다.

통증질환, 특징과 치료법 다양
통각수용통증은 수술 후 통증, 다치거나 삔 후의 통증, 분만 통증, 관절염 통증 등 비교적 치료가 쉬운 통증질환이다. 그러나, 신경병증통증은 신체의 손상이 아닌 신경세포의 손상이나 신경계의 기능 이상으로 통증의 신호를 뇌에 보내면서 나타나는 통증질환이다. 자극이 없는데도 감전된 것과 같은 통증을 느끼거나, 약간 불편한 느낌을 줄 정도의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통각과민(痛覺過敏)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당뇨병신경병증통증, 대상포진후신경통, 삼차신경통 등이 있다. 복합통증은 통각수용통증과 신경병증통증 요소를 모두 포함한 통증질환으로 척추 수술 후 통증, 심한 척추관협착증, 손목터널증후군 등이 대표적이다. 신경병증통증은 마취통증의학과 외에 여러 진료과가 참여해 진료해야한다. 수면장애, 기력 감소, 집중력 감퇴, 우울증 등의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서울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문동언 교수는 “복합통증의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대부분 통각수용통증으로 진단돼 적절한 치료시기가 늦어지기 때문”이라며 “젊은층에게 진단과 치료가 까다로운 통증질환이 많은 이유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사회활동이 많아 외상 등에 노출될 확률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해다. 문 교수는 “외상으로 인한 손상이 치유됐는데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통증치료 전문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경계 변화 유발하는 신경병증통증
신경병증통증이나 복합통증은 통각수용통증보다 일반적으로 치료가 쉽지 않다. 각 통증의 특성을 알아본다.

통각수용통증
화상이나 칼에 베이는 것과 같은 외상, 종양과 같은 몸 내부의 압력 증가 등 몸에 실제적인 손상이 생겨 나타나는 통증이다. 손상된 조직에 있는 신경이 활성화되면서 통증신호를 뇌로 보내기 때문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간 등 복부 내 장기의 통증은 통증 부위가 모호하고, 지속적으로 조이거나 욱신거리는 양상을 보이며, 구역, 구토, 발한 등을 동반하는 내장통증 형태로 나타난다. 피부, 근육, 뼈의 통증은 날카로우면서 쑤시거나 눌리는 듯한 느낌을 받는데 통증 부위가 국한되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체성통증으로 나타난다. 모두 마약성 진통제나 소염진통제로 치료하면 효과가 높다.

신경병증통증
통각수용통증이 오래 지속되거나 반복되면 신경계에 변화를 초래해 만성 신경병증통증이 된다. 부상이나 신체 내외 조직의 손상이 없는데도 생기는 통증으로, 신경계의 기능 이상으로 통증 신호를 뇌에 보내기 때문에 일어난다. 신경손상을 주는 원인은 외상, 수술 후 통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뇌졸중 후 중추성통증, 우울증 등 다양하다. 이러한 신경병증통증은 평상시 만지거나 자극을 주는 등의 경미한 자극에도 민감하게 통증이 나타난다. 삼차신경통같이 얼굴 안면에 생기는 이질통, 자극을 주었을 때 작은 불편감에도 자극이 극심한 통각과민, 전기에 감전된 것 같은 발작적 통증도 나타난다. 항경련제와 항우울제를 1차적으로 투여하며, 필요하면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한다.

복합통증
척추 수술 후 통증, 심한 척추관협착증, 손목터널증후군, 교통사고 후 목을 다쳐 생기는 채찍질증후군 등 신경병증통증과 통각수용통증 요소가 들어 있다. 신경병증통증이 포함돼 있어 항경련제와 항우울제를 반드시 써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암성통증
암 자체에 의한 통증, 암치료 중 발생하는 통증, 암으로 전신 쇠약이 초래돼 2차적으로 발생하는 통증, 암과 관계없이 환자가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두통이나 류머티즘질환 등에 의해 생기는 모든 통증을 말한다.
암성통증은 통각수용통증인 체성통증과 내장통증, 신경병증통증으로 분류된다. 통각수용통증은 암 자체가 뼈나 내장, 혈관, 신경 등의 연부조직을 침범해 나타난다. 신경병증통증은 말초신경이나 척수조직에 염증세포가 침윤해 나타나는 증상으로 수술, 항암요법, 방사선치료 등에 의한 신경조직 손상에 의해 나타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약보다 좋은 건강법(퍼옴)  (0) 2012.03.23
편두통?? 두통??  (0) 2012.03.20
협심증 지침서  (0) 2011.11.08
만성비염  (0) 2011.10.20
PRP  (0) 2011.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