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저림 |
손이 저리면 “말초혈액순환장애때문이다 ”혹은 “중풍의 초기 증상이다.”라고 지레 짐작하고 미리 겁부터 내는 사람이 많습니다.그렇지만 이것은 잘못된 의학상식으로서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손저림은 매우 드뭅니다.손저림 증상의 대부분은 손목굴증후군(수근관증후군)이라고하는< 국소적인 말초신경병 때문에 발생합니다.
A. 뇌졸중에서 나타나는 손저림의 특징?
● 갑자기 나타납니다. |
B. 말초혈액순환장애에서 나타나는 손저림의 특징?
● 손저림 보다는 손가락의 통증이 더 |
C. 손목굴증후군이란 무엇일까요?
- 손의 근육과 바닥쪽 손과 손가락의 감각을 담당하는 정중신경이 손목에서 압박되어서 나타나는
질병 입니다.
1. 손목굴의 해부학적 구조
- 손목굴(터널)은손목의 뼈와 손목 가로인대로 둘러 싸인 통로인데(그림)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의 힘줄과 함께 손바닥 쪽으로 들어가는 정중신경이 통과합니다.
손목굴이원래 좁기 때문에 정중신경이 이 부위에서 쉽게 압박될 수 있습니다.
2. 손목굴증후군 증상의 특징
● 손목굴증후군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3. 손목굴증후군의 원인
● 중년 여성 -과도한 손목 운동 |
4. 도움이 되는 자가진단 방법은?
손목굴증후군은 특징적인 임상 증상 때문에 쉽게 알게 되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좀 더 확신할
수 있습니다
● 손목을 과도히 구부리거나 제끼면 저린 증상이 심해집니다 |
5. 손목굴증후군의 진단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 증상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신경과 전문의의 진찰이 가장 중요합니다. |
6. 치료와 예방
● 치료
- 손목굴증후군의 치료는 보존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이 있습니다.보존적 요법은 신경의 손상
이 심하지 않을 때 시도하고 손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되지 않으면 손목굴을 열어주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그러나 구체적인 치료 방법의 선택은 치료 방법의 장단점을 의사와 충분히
상의한 다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보존적 치료
- 손목 휴식
- 약물 요법
- 스프린트등의 보조기 사용
-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
- 원인 질병에 대한 치료
● 예방
- 손목터널증후군의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나친 손목이나 손 운동을 억제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하여서 손목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합니다.